결혼 10년, 서로 좋아서 시작했던 마음은 이제 시들었고, 더 이상 같은 길을 가기엔 버겁다고 느끼는 순간이 올 때가 있습니다.
실제로 법무법인 해일로 방문하시어 결혼10년차이혼을 고민하는 분들의 가장 큰 걱정은 “재산을 어떻게 나눌까요?”인데요.
특히 함께 모은 부부공동재산이 많다면, 누가 더 이바지했는지 따지는 과정에서 갈등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기여도에 따라 결혼10년차이혼 시 나누게 될 돈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 기여도, 감정이 아니라 데이터입니다
많은 분이 재산분할은 기본적으로 5:5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결혼10년차이혼 재산분할 비율은 어떻게 정해질까요?
법원은 혼인 기간 누가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핍니다.
✔️ 맞벌이를 하며 생활비를 공동 부담했는지 |
✔️ 배우자가 경제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가사·육아를 전담했는지 |
✔️ 집, 대출, 보험료 등 재산 형성 과정에 누가 실제로 돈을 썼는지 |
즉, 감정이 아니라 자료와 기록이 승부처가 되는 셈입니다.
📝 증거 수집이 곧 승부수
"재산 형성은 제가 다 했습니다.”라는 말만으로는 결혼10년차이혼 기여도의 저울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결혼10년차이혼 사건에서 제가 늘 강조하는 부분이 바로 증거 수집인데요.
✔️ 생활비 계좌 이체 내역 |
✔️ 적금·보험 납부 내역, 퇴직연금 자료 |
✔️ 자녀 학교 행사 참여 기록, 병원 동행 내역 |
✔️ 주택담보대출 상환 영수증 |
이런 자료를 촘촘히 모으면, 법원은 가사·육아 노동도 재산 형성에 이바지한 것으로 인정해 부산이혼재산분할 비율을 높여줍니다.
⚖️ 실제 사건: 도박·폭행 배우자와의 결별
얼마 전 부산이혼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한 의뢰인은,
재혼 후 배우자의 직장 퇴사·생활비 미지급·도박·외도 의심·폭행까지 겪으며 결국 결혼10년차이혼을 결심했습니다.
법무법인 해일은 계좌거래내역, 생활비 지출 자료, 아파트 대출 상환 내역 등 객관적 증거를 모아 의뢰인의 기여도를 입증했으며,
병원 기록이나 남편의 외도 정황 등 혼인 파탄의 책임이 배우자에게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법원은 이를 모두 받아들여 위자료 전액과 함께 재산분할 50%를 인정했습니다.
그 결과 재판부는 2,000만 원 위자료와 1억 5천만 원의 재산분할을 인용했는데요.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 오랜 억울함을 씻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계기였습니다.
📌 결론: 준비한 만큼 챙긴다
결혼10년차이혼은 감정싸움이 아니라 철저한 논리와 증거 싸움입니다.
“판사가 공평하게 판단해 나눠주겠지”라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예상보다 훨씬 적게 받을 수도 있습니다.
시작부터 전문가 도움을 받아 부산이혼재산분할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를 제대로 준비하세요.
결국 누가 더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하느냐, 그것이 재산분할의 결과를 결정합니다.
100만 원이라도 더 챙기고 싶으시다면, 오늘부터 증거를 모으는 것이 가장 빠른 첫걸음입니다.